전체 글696 중력렌즈 현상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제시된 것이다 최근 천문학자들의 관측 연구에서 가장 흥미로운 현상 중의 하나는 중력렌즈 현상이다. 중력렌즈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제시된 것이며, 암흑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는 가장 결정적인 증거이다. 중력렌즈 현상 관측 아인슈타인은 우주의 질량체의 주변은 시공간이 휘어 있으며 이를 중력장으로 표현하고, 거대한 질량을 갖는 천체 주변을 통과하는 빛은 중력장을 지나 마치 렌즈를 통한 빛처럼 휘어져 관측될 것을 예상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한 이러한 예측에 대하여 1919년 에딩턴은 개기일식 때 태양 근처를 스쳐 지나오는 별빛의 경로가 휘어져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중력렌즈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했다. 중력렌즈 현상 구분 퀘이사와 같이 우주의 먼 곳에 위치하는 천체에서 나오는 빛도 거대한.. 2021. 6. 29. 목성의 질량, 대기, 위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7억 8000만 킬로미터 떨어져서 공전을 하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11년 10개월이다. 목성은 태양계 내에서 가장 빠른 자전을 하는 행성인데, 대부분 기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등 자전을 하며, 적도 부근에서는 9시간 55분 주기로 자전을 한다. 자전축은 3도가량 기울어져 있다. 목성의 질량과 대기 목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318배이고 부피는 지구의 약 1400배나 된다. 그러나 밀도는 지구의 4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표면 온도는 섭씨 약 -148도이다. 목성의 대기는 주로 헬륨, 수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간의 암모니아와 메탄이 존재한다. 목성의 표면에는 줄무늬가 보이는데, 검게 보이는 것을 '띠', 밝게 보이는 것을 '대'라고 부른다. 표면 남쪽에는 붉은 반점 .. 2021. 6. 29. 내행성 수성과 해가 서쪽에서 뜨는 금성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이다. 금성은 해뜨기 전 동쪽 하늘이나 해 진 후 서쪽 하늘에서 보이는 매우 밝은 행성으로 태양과 달을 제외하면 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이다. 수성 수성은 이심률이 매우 큰 타원 궤도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데, 태양에 가장 근접하는 근일점이 약 4,600만 킬로미터이며,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지는 원일점은 약 7,000만 킬로미터이다. 공전 주기는 약 88마일로 매우 짧지만, 자전 주기는 약 59일로 매우 느리다. 수성은 지구 궤도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는 내행성으로 지구에서 볼 때 태양으로부터 일정한 각도 이상 떨어지지 않는데, 그 최대이각이 22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지구에서 볼 때 수성은 언제나 태양 가까이에 붙어 있고 관측하기가 쉽지 않다. 수성은 해가 진 직후 .. 2021. 6. 29. 태양의 탄생과 태양계 형성 우주가 형성된 이후 약 90억 년이 지난 시점, 즉 지금으로부터 약 50억 년 전 태양이 탄생했으며, 태양은 지금까지 내부의 핵융합에 의해 빛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행성을 포함한 태양계 자체의 형성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제시되어 있다. 그중에서 태양계 형성에 관한 대표적인 학설은 '성운설'로, 1755년 독일의 철학자 칸트가 주장한 학설을 1796년 라플라스가 수정한 것이다. 성운설에 따르면 원시 태양계는 천천히 자전하는 고온의 거대한 가스 덩어리에서 시작한다. 이 가스 덩어리는 점차 냉각되면서 중력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수축하고, 수축함으로써 자전이 빨라지면서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적도부에서 물질을 원반 모양으로 방출했다. 다시 남은 물질이 중심부로 .. 2021. 6. 29. 우주의 운명과 우주의 밀도 빅뱅과 급팽창, 그리고 시간의 역사에 따라 공간이 팽창해 온 우주. 우주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빅뱅 우주론은 우주의 운명을 상대성 이론에 근거해 그 해답을 찾고 있는데, 우주의 밀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제시한다. 고무줄에 매달린 공을 던진다고 생각하자. 적절한 힘으로 공을 던지면 고무줄의 장력으로 인해 날아가면 공이 돌아올 수 있다. 그러나 매우 강한 힘으로 공을 던지면 고무줄을 끊고 더 멀리 날아갈 것이다. 매우 정교한 힘을 가진다면 고무줄에 달려 날아가던 공은 순간적으로 고무줄이 끊어짐과 동시에 떨어져 버릴 수도 있다. 팽창하는 우주에서 빅뱅에 의해 지금까지의 팽창을 유지해 오는 팽창 에너지는 고무줄을 던지는 사람의 힘과 유사하다. 그리고 고무줄의 장력은 우주를 채우고 있는 물질들의 질량에.. 2021. 6. 28. 빅뱅 우주론의 지평선 문제와 급팽창 이론 고전적 빅뱅 우주론은 우주의 지평선 문제라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앨런 구스는 우주 형성의 극단적인 초기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크기가 급격히 팽창했다는 급팽창 이론을 제시했다. 부업 현금 인출 가능한 설문조사 엠브레인 패널파워 부업으로 할 수 있는 현금 인출 가능한 설문조사 엠브레인 패널파워입니다. 조사에 참여해서 일정 금액이 모이면 현금인출, 상품권 등으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입하시면 오늘부터 namuac.tistory.com 설문조사 현금 인출 가능한 용돈 벌기 | 서베이링크 설문조사 현금 인출 가능한 용돈 벌기 서베이링크입니다. 조사에 참여해서 일정 금액이 모이면 현금인출, 네이버페이, 상품권 등으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입하시면 오늘부터 적립 namuac.tistor.. 2021. 6. 27. 빅뱅 우주론의 탄생 빅뱅 우주론은 우주를 채우고 있는 물질들의 중력만 있다면 우주는 인력에 의해 한 점으로 모일 수밖에 없겠지만, 우주의 시작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면서 이때 생긴 에너지가 우주를 팽창하게 하며, 우주는 이 팽창 에너지로 현재까지 팽창을 지속해 왔다는 것이다. 빅뱅 우주론은 시공간 탄생의 시점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그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은 팽창하고 우주의 모습은 지속적으로 변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의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다. 여기서 우주의 팽창을 거꾸로 생각하면 우주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 국제 천문 연맹은 현재까지의 수많은 천문 관측 사실을 종합하여 우주의 나이를 137년으로 제시하고 있다. 137년 동안 우주에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빅뱅 초기 우주는 고.. 2021. 6. 27. 천체 관측에 망원경을 사용하는 이유 천체 관측에 망원경을 사용하는 이유는 천체의 빛을 모아 어두운 천체를 더 정밀하게 관측하며, 그리고 태양계 천체들에 대해 가능한 더 크게 관측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천체 관측 망원경 특성들을 각각 집광력, 분해능, 배율이라고 한다. 망원경은 4배의 집광력을 가진다 더 어두운 전체를 잘 보기 위해서는 망원경의 빛을 모으는 능력이 좋아야 한다. 이를 집광력이라고 하는데, 집광력은 망원경의 대물렌즈 또는 주 반사거울의 면적이 크면 더 좋아진다. 둥근 반사거울의 경우를 생각하면 면적은 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지름 1미터 반사망원경에 비해 비해 지름 2미터 반사망원경에 비해 지름 2미터 반사망원경은 4배의 집광력을 가지므로 4배 더 어두운 전체를 볼 수 있으며, 만약 같은 전체의 경우 4배 더 밝게 .. 2021. 6. 25. 이전 1 ··· 84 85 86 87 다음